평화통일아카데미

위원회ㆍ운동본부ㆍ복지재단   >   평화공동체운동본부   >   평화통일아카데미
평화통일 아카데미 마지막 강좌 "강화 민통선 평화기행"
2014-06-19 22:57:41
관리자
조회수   3605
<‘민통선평화기행’의 저자와 함께 떠나는 강화 민통선평화기행(당일)> 


 

 

 

1. 목 적

제1회 한국기독교장로회 평화통일아카데미의 마지막 강좌로 이시우 작가와 함께 떠나는 현장학습으로 진행한다. 분단 현장의 역사를 돌아보는 강화 민통선 평화기행을 통해 통일을 머리만이 아닌 가슴으로 느끼게 하며, 수료생들 간 친목과 단합의 장이 되는 졸업기행이다.

 

2. 내 용

유엔군사령부의 법적 실체에 대해 깨닫고, 정전체제에서 평화체제로 나아가야 하는 당위와 그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계기로 삼는다. 한강하구의 역사적, 사회문화적 배경을 통해 정전협정의 틈을 비집고 한강하구를 평화수역으로 만들기 위해 대안들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유라시아 대륙으로 나아가는 상상력을 펼쳐본다.

 

3. 계 획

① 일 시 : 2014년 6월 16일(월) 오전 10시

② 장소 및 일정 : 경기도 강화군 및 한강하구 일대(1시간 40분 소요)

08:30 집결 및 출발

10:00 연미정 - 한강하구를 통해본 유라시아 상상력.

11:00 중앙교회 - 이동휘의 리더쉽

12:00 ~ 맛있는 시골밥상

13:00 충렬사 - 병자호란과 유라시아체계

14:00 부근리 고인돌 - 기울어진 고인돌의 통일미학

15:00 강화평화전망대 - 유엔군사령부와 정전협정이야기

16:30 광성보 - 병인양요, 신미양요, 한강하구이야기

(갈대잎으로 평화(통일)의 배 띄우기 - 계절에따라)

18:00 한신대 도착 및 저녁식사

19:00 평화통일 월요기도회 참여 및 아카데미 수료식

 

 

③ 예상인원 : 35명

④ 회 비 : 1만원(식사비 포함)

 

4. 강사 약력 - 이시우(사진작가)

자유의 반대는 구속이 아니라 관성이다. 구속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저항하지만 관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성찰해야한다. 이시우 작가에게 사진은 관성을 극복하기 위한 사색의 도구이다. 이시우 작가는 비무장지대(DMZ), 대인지뢰, 한강하구, 제주4.3과 오키나와, 유라시아와 통일, 강화양민학살 등의 현장에서 사색한 작품들이 있다.

 

67년 충남예산 출생

86년 용산고등학교 졸업

88년 신구전문대 사진과 제적

99년 사진집 [비무장지대에서의 사색] - 인간사랑 출간

99년 사진집 [끝나지 않은 전쟁 ‘대인지뢰’] -한국교회여성연합회출간

2003년 산문집 [민통선평화기행]출간-창작과비평사 출간

2004년 산문집 [민통선평화기행] 프랑크푸르트국제도서전 출품작

- 한국의 책100권에 선정

2006년 [민통선평화기행] 독일어 판 ' IM NIEMANDSLAND' 출간

- 아베라출판사(Abera Verlag)

2007년 제5회 박종철인권상 수상-불교인권위원회

인터넷기자협회(인기협) 창립5주년-특별상 수상

[민통선평화기행 영어판 ‘Life on the Edge of the DMZ’출간.

- Global Oriental 출판사

2008년 4월혁명상 수상-4월혁명회

2008년 [정전협정의 틈 유라시아로의 창 한강하구](통일뉴스)출간

2009년 공저 [우사김규식 통일독립의 길을 가다 3.4](통일뉴스)출간

공저 [ろうそくデモを越えて](東方出版)출간

2010년 제15회 ‘늦봄(문익환목사) 통일상’수상 - (사)통일맞이

2012년 진보의 블랙박스를 열다(공저) 출간

2013년 유엔군사령부 출간(7월)

 

- 관련 홈페이지(DMZ사진가게) : http://cafe.daum.net/dmzphotoshop

 

5. 문 의

- 총회 평화공동체운동본부 신연식 목사

02-3499-7626, 010-3409-9204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